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주말 날씨가 너무 따뜻해서 도저히 집에 있을 수가 없더라고요. 낮 기온이 25도 이상 올라가니 봄이 지나 곧 여름 올 거 같은 느낌까지 들었습니다. 햇볕도 너무 좋아 이번엔 여주 쪽으로 살짝 나들이 다녀왔습니다.

경기도 쪽은 벚꽃 포인트가 여러 군데라 이곳저곳 다녀봐야 할 거 같아요~ 경상도 쪽은 메이저 포인트가 이미 정해져 있어서 살짝 지겨운 맛이 있지만, 여긴 다 새로운 곳이라 좋습니다.

 

여주 흥천남한강 벚꽃 축제

는 올해는 하지 않고요. 그래도 원래 있던 벚꽃 나무들이니 어디 가진 않겠죠?

 

아직 벚꽃이 만개하진 않았어요. 아마 다음 주가 절정일 거 같네요~

그래도 사람들이 꽤나 많았습니다. 갓길에 차 주차하고 사진 찍는 가족 커플들이 많았습니다.

여주 흥천남한강 벚꽃 1
여주 흥천남한강 벚꽃 2
여주 흥천남한강 벚꽃 3
여주 흥천남한강 벚꽃 4
여주 흥천남한강 벚꽃 5
여주 흥천남한강 벚꽃 6

그래도 간만에 따스한 바람과 벚꽃 나들이 즐기는 사람들 사이에서 봄을 느꼈네요~

벚꽃 구경은 또 갈 거니까, 빠르게 사진 찍고 세종 대왕릉으로~~ 슝~

 

세종대왕릉

 

아래 동네에 살 때에는 전부 신라시대 왕릉만 다녔는데, 경기도로 오니 조선시대 왕릉을 가게 되네요~!

세종대왕은 한글 창제 하나만으로도 전 세계적으로 그 업적은 높이 평가받는 왕이죠~

날씨 좋은 날 세종대왕의 기운을 받으러 왔습니다~

 

세종대왕 역사문화관 1

주차장에 주차하고 들어서면 세종대왕 역사문화관이 있습니다.

세종대왕 역사문화관 2
세종대왕 역사문화관 3

훈민정음 언해본 서문~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고등학교 국어시간에 배웠던 건데~ 반갑네요

세종대왕 역사문화관 4

즉위도입니다. 1418년에 즉위하셨는데, 역사적 고증을 바탕으로 1970년대 그려진 그림입니다.

세종대왕 역사문화관 7

세종대왕 어진입니다.

세종대왕 역사문화관 8

세종대왕과 소헌왕후 사이에 금실이 매우 좋았나 봐요. 세종 대왕릉이 왕과 왕비가 합장된 우리나라 최초의 합장릉이라고 합니다. 세종대왕은 역시 성군이었던 거죠.

세종대왕 역사문화관 9
세종대왕 역사문화관 10
세종대왕 역사문화관 11
세종대왕 역사문화관 12

옥쇄~! 옛날에는 저 옥쇄를 목숨처럼 귀중히 여겼으니.. 요새는 다 싸인으로 하지 않나요? ㅎㅎ

세종대왕 역사문화관 13

조선 최고의 발명가 장영실도 세종대왕이 없었다면 빛을 발할 수 없었죠~ 노비 출신임에도 능력을 알아보고 중용하였지요. 별거 아닌 거 같지만, 조선시대의 사회풍토에서는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일이었죠. 확실히 세종대왕은 깨어 있던 사람이었습니다.

세종대왕 역사문화관 14

 

세종대왕 역사문화관 15
세종대왕 역사문화관 16
세종대왕 역사문화관 16

학문뿐만 아니라 음악에도 조예가 있었습니다.

세종대왕 역사문화관 17
세종대왕 역사문화관 18
세종대왕 역사문화관 19

왕릉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영상으로 설명합니다

세종대왕 역사문화관 20
세종대왕 역사문화관 21

하멜 표류기는 효종 때 사건입니다. 세종대왕릉 인근에 효종대왕릉도 같이 있어서 전시관에 효종에 대한 이야기도 같이 있습니다. 그런데, 효종도 대왕으로 추대받는 건가요? 저는 처음 알았습니다.

진달래꽃 1
진달래꽃 2
진달래꽃 3

전시관을 나와서 걷다 보면 분홍빛 진달래 꽃이 한창입니다~ 

세종대왕릉 1

왕릉까지 가는 길에 초입부터 소나무와 어우러지는 풍경이 너무 여유롭고 상쾌하네요

세종대왕릉 2
세종대왕릉 3
세종대왕릉 5
세종대왕릉 6
세종대왕릉 7
세종대왕릉 8
세종대왕릉 9

가다 보면 최근에 복원한 영릉 재실이 있습니다. 너무 새 건물 느낌이 나서 운치는 없습니다만, 과거 왕릉을 지키던 관료들이 머물던 곳으로 최근에서야 고증을 통해 재건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어떻게 소실되었는지에 대한 내용은 없던데, 아무래도 임진왜란이란 일제 강점기? 때 소실되지 않았을까 하고 추측해 봅니다.

세종대왕릉 10
세종대왕릉 11
세종대왕릉 12

이곳은 작은 책방이라는데, 실제 들어가서 한옥에 앉아 책을 볼 수 있는 공간입니다. 책꽂이에 책들도 있어요. 

세종대왕릉 13
세종대왕릉 14

왕릉 입구에 들어서면 뻥 뚫린 잔디 너머로 왕릉이 보입니다. 왕릉이 언덕 위에 있네요.

세종대왕릉 15

제를 지내는 곳입니다. 문 앞으로 가면 뒤쪽으로 왕릉이 보입니다.

참고로 양력 4월 8일은 세종대왕 기일로 매년 기신제를 한다고 합니다. 4월 28일은 소헌왕후.

그리고, 5월 15일은 세종대왕 탄신일 (오호..)로 숭모제전을 한다고 하네요.

10월 9일은 한글날 행사가 있고 아무튼 관심 있으신 분은 참고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세종대왕릉 16
세종대왕릉 17
세종대왕릉 19

옆 길로 돌아서 올라가면 세종 대왕릉이 보입니다.

조선시대 최고의 왕인데, 생각보다 소박한 느낌이 들어서 놀랬습니다. 한편으론 세종대왕의 인품이 느껴진다고 해야 하나? 백성 위에 군림하는 왕이 아닌 백성을 보듬어 주는 왕의 느낌..

신라 왕들의 봉분만 보더라도 크기면에서 굉장한 차이가 있네요.

 

아무튼, 좋은 날씨에 산책 겸 좋은 기운을 많이 받고 왔다고 생각됩니다~

 

728x90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